찰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관찰, 성찰, 통찰입니다.

아시다시피 찰(察)은 살핀다는 말입니다.

살피기를 가장 잘 하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엄마가 어린 아이 살피기를 잘하듯이

코칭 장면에서 저도 그래야 하는데 아직 부족하고 연습이 더 필요합니다.

관찰은 보면서 살피는 것이고

성찰은 돌아보면서 살피는 것이요

통찰은 꿰뚫어보면서 살피는 일이라 생각합니다.

ICF에서는 2번째 역량 “2. 코칭마인트 셋을 구현한다”에서

마인드셋에 대한 정의 가운데 “호기심이 많으며”라는 표현과 함께

구현하는 핵심요소로 “성찰 훈련을 개발한다(Develop reflective practice) 고 했습니다.

살피기를 잘 해낸 사람의 모델이 있다면 누구를 꼽을 수 있을까요?

바로 순임금입니다.

순임금은 묻기를 즐겨했습니다. 호기심이 아주 많았나 봅니다.

또한 순임금은 살피기를 좋아했습니다.

<중용> 6장을 보면 공자님이 순임금이 엄청 지혜로운 분이라고 일컫습니다.

순임금이 잘 한 것을 3가지 꼽는데,

그 가운데 첫번째 키워드가 호문호찰입니다.

호문(好問-묻기를 좋아함) 호찰(好察-살피기를 좋아함)의 단어를 보고

코칭의 원리가 우리의 고전 속에 있었구나, 하며 반가웠었습니다.

순임금은 무얼 살폈을까요?

이언(邇言)이라 하여, 대수롭지 않은 말조차 살폈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코칭하다가

“지금 한숨을 쉬셨는데 지금 어떤 마음이 느껴지시나요?”

이렇게 말할 때가 바로 이언을 살피는 중이라 생각합니다.

“제가 들어보니까 ~”

“제가 보니까~”

와 같은 표현도 코치가 관찰한 바를 나누는 것이어서

코치가 살피고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신호라 생각합니다.

잘 살피면 눈치코치가 있는 사람이겠죠?!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12

처음 초반에 교수님께서는 ‘상대 마음을 얻는 것이 쉬울까, 내 마음을 주는 것이 쉬울까’에 대한 질문을 하셨다. 나는 내 마음을 주는 것이 조금 더 쉽겠지만 이것이

진짜 감정을 알아차리게 돕는 감정코칭

우리는 감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자기 감정을 오래하고 그 감정에 속기도 합니다. 예컨대 미움이 진짜 감정이 아니라는 겁니다. 왜 미운가? 미움이란 것이 어떻게 생겼는지 들여다보면

코칭의 효과

공부의 효과나 코칭의 효과는 같다. 공부하면 무엇이 달라질까? 유학의 고전인 은 공부의 효과를 파악하는 3가지를 소개했다. 바로 “밝아졌나?” “새로워졌나?” “좋은 상태에 머무 나?”다. 코칭을 마치고

감사일기를 9년 넘게 써온 소감은?

저에게 좋으니까 사람들에게 권하게 됩니다. 제가 깨달았던 경험을 나누면서 했던 말들이 생각납니다. 첫째, 감사는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그때 그때 느끼는 것이다. 감사일기를 쓰기 시작한 초기

감정이 원하는 것

대부분 사람들은 걱정을 키우며 삽니다. “돈 없으면 어떻게 살지?” 하며 가난하면 살 수 없을 것같이 생각합니다. 애 낳기도 두려워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조건이 충족되어만 행복해진다 생각으로

원하는 것을 얻도록 돕는 코칭

이슈를 지닌 코칭고객들은 자기가 당면한 문제가 해결하려면 내가 아닌 상대방이 변해야 한다고 생각을 하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코치는 이슈 당사자를 만나고 있을 뿐이므로 코칭 장면에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