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것을 보도록 돕는 코칭

우리가 욕구불만이나 스트레스에 빠지는 이유는 대체로 지각에 의존할 때 그렇습니다.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인줄 착각하면 그렇습니다. 그럴 리가 없다, 그런 사람이 아니다는 믿음이 앞서 있으면, 행동을 보고 실망하거나 비난하지 않게 됩니다.

상대방이 실망스러운 행동을 하는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충분히 있을 것이라는 믿음이 있다면 알아보면 됩니다. 알아보지 않고 보고 알면 낭패일 때가 적지 않지요. 눈으로 보고 아는 것은 말(末)을 본 것이며, 입으로 알아보는 것은 본(本)을 보는 것입니다. 본심, 본성, 본질, 본의는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보고 아는 것은 말 그대로 본말이 전도(顚倒)되는 것입니다.

코칭에서는 고객이 더 명석해지도록 안내합니다. 명석판명하기 위해서는 바로 본과 말을 올바로 아는 것입니다. 올바르다는 것은 옷감의 올이 가로세로 반듯하다는 말입니다. 본은 수직과 같고 말은 수평과 같습니다. 수직이 바로 세워져야 수평이 반듯하게 퍼져나갑니다.

논어에는 <본립도생>이란 말이 나옵니다. 본이 서야 길이 생긴다는 뜻입니다. 저는 코칭에 이렇게 적용해봅니다.

“코치가 바로 서야 코칭이 잘 이루어지고

코치가 코칭고객을 바로 설 수 있도록 도와야 사고가 확장되며

코칭고객이 함께 하는 사람들의 본성(보이지 않는 내적 가치)을 바로 인식할 때 길(道)이 생긴다”

<사례> 보이지 않는 것을 보도록 돕는 코칭

코칭고객 : 신임팀장으로 보직을 맡은 지 3개월째인데 회의 때 구성원들이 의견개진도 잘 하지 않고, 수동적이어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습니다.

코치 : 구성원이 마음 같지 않아 스트레스가 심한가 보네요. 팀장님은 구성원에게 어떤 팀장이고 싶으신가요?(존재인식)

코칭고객 : 음…구성원의 성장을 도우면서 우리 팀이 충분히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회사로부터 인정받는 팀장이고 싶습니다.

코치 : 사람을 좋아하시는 분이시네요. 책임감도 강하시고요. 팀장님이 그런 분이란 걸 구성원이 안다면 기분이 어떠실까요? (존재인식)

코칭고객 : 제 마음을 제대로 알아준다면 저도 신이 날 것 같네요.

코치 : 그런 마음을 구성원에게 전달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코칭고객 : 생각해보니 그런 말을 해보지는 않았었네요.

코치 : 수동적이라고 했는데 그것을 제외하면 구성원들은 어떤 사람들인가요? (존재인식)

코칭고객 : 실력도 있고, 각자 자기가 맡은 역할은 제대로 잘하는 편이에요.

코치 : 팀장님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는 걸 구성원들이 알고 있는지요?

코칭고객 : 아! 이런 말도 진작 했더라면 좋았겠네요. 제가 그 동안 부족한 점만 지적했었네요. 앞으로 잘한 점이나 고마운 점들도 말을 해줘야겠다는 걸 깨닫게 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존재와 본성에 초점을 두는 코칭

「대학」 책에 보면 본本과 말末에 대한 말이 나오는데 본(本)은 존재(being)에 해당합니다. 코칭은 존재와 사고방식에 집중합니다. 이것은 철학이 존재론과 인식론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것과 유사합니다. 코칭에는 [삼중고리헉습

셀프코칭1]오늘은 당신에게 어떤 의미인가요?

아침에 깨어 만나는 매일매일의 오늘은 제게 기적과 같은 날입니다. 헬렌 켈러는 ‘사흘만 볼 수 있다면’이라는 수필에서 ‘새벽에 일어나 밤이 낮으로 바뀌는 웅장한 기적을 보고 싶다’고

수업소감 49

대화를 하다보면 공감하기 힘들거나 맞장구 쳐주기 힘든 경우나 처음 만난 사이에 무슨 말을 하야할 지 고민이 되는 순간들이 많았다. 그러나 이 강의를 보고나서 굳이 무슨

수업소감 37

이 수업은 일상생활에서 말하는 방법에 대해 배우는 수업이어서 낯을 많이 가리는 나에게 매우 도움이 되는 수업이었다. 또, 이런 내용의 수업을 들어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수업을

영화 <어바웃 타임>과 까르페 디엠

​ 호소력 짙고 매력적인 목소리의 주인공, 마룬 5의 란 노래를 듣다가 이런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우리는 살면서 좋은 순간을 만납니다. 그런데 만약 그런 순간이나 사람을 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