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것을 보도록 돕는 코칭

우리가 욕구불만이나 스트레스에 빠지는 이유는 대체로 지각에 의존할 때 그렇습니다.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인줄 착각하면 그렇습니다. 그럴 리가 없다, 그런 사람이 아니다는 믿음이 앞서 있으면, 행동을 보고 실망하거나 비난하지 않게 됩니다.

상대방이 실망스러운 행동을 하는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충분히 있을 것이라는 믿음이 있다면 알아보면 됩니다. 알아보지 않고 보고 알면 낭패일 때가 적지 않지요. 눈으로 보고 아는 것은 말(末)을 본 것이며, 입으로 알아보는 것은 본(本)을 보는 것입니다. 본심, 본성, 본질, 본의는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보고 아는 것은 말 그대로 본말이 전도(顚倒)되는 것입니다.

코칭에서는 고객이 더 명석해지도록 안내합니다. 명석판명하기 위해서는 바로 본과 말을 올바로 아는 것입니다. 올바르다는 것은 옷감의 올이 가로세로 반듯하다는 말입니다. 본은 수직과 같고 말은 수평과 같습니다. 수직이 바로 세워져야 수평이 반듯하게 퍼져나갑니다.

논어에는 <본립도생>이란 말이 나옵니다. 본이 서야 길이 생긴다는 뜻입니다. 저는 코칭에 이렇게 적용해봅니다.

“코치가 바로 서야 코칭이 잘 이루어지고

코치가 코칭고객을 바로 설 수 있도록 도와야 사고가 확장되며

코칭고객이 함께 하는 사람들의 본성(보이지 않는 내적 가치)을 바로 인식할 때 길(道)이 생긴다”

<사례> 보이지 않는 것을 보도록 돕는 코칭

코칭고객 : 신임팀장으로 보직을 맡은 지 3개월째인데 회의 때 구성원들이 의견개진도 잘 하지 않고, 수동적이어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습니다.

코치 : 구성원이 마음 같지 않아 스트레스가 심한가 보네요. 팀장님은 구성원에게 어떤 팀장이고 싶으신가요?(존재인식)

코칭고객 : 음…구성원의 성장을 도우면서 우리 팀이 충분히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회사로부터 인정받는 팀장이고 싶습니다.

코치 : 사람을 좋아하시는 분이시네요. 책임감도 강하시고요. 팀장님이 그런 분이란 걸 구성원이 안다면 기분이 어떠실까요? (존재인식)

코칭고객 : 제 마음을 제대로 알아준다면 저도 신이 날 것 같네요.

코치 : 그런 마음을 구성원에게 전달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코칭고객 : 생각해보니 그런 말을 해보지는 않았었네요.

코치 : 수동적이라고 했는데 그것을 제외하면 구성원들은 어떤 사람들인가요? (존재인식)

코칭고객 : 실력도 있고, 각자 자기가 맡은 역할은 제대로 잘하는 편이에요.

코치 : 팀장님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는 걸 구성원들이 알고 있는지요?

코칭고객 : 아! 이런 말도 진작 했더라면 좋았겠네요. 제가 그 동안 부족한 점만 지적했었네요. 앞으로 잘한 점이나 고마운 점들도 말을 해줘야겠다는 걸 깨닫게 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30

강의를 통해 지금까지 저의 말하기를 돌아보며 가장 크게 느낀 것은 제가 저의 마음을 전하는 말하기를 하는 데 급급해서 상대의 마음을 얻는 것을 놓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수업소감 8

말하기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자 모든 시작점은 마음에서 나온다가 수업의 가장 중요한 주제였던 것 같습니다. 상대방에게 꾸며진 자신의 모습을 유려한 말솜씨로 꾸며내는 게 아니라 평소에

수업소감 13

‘겉만 보지 말고 속을 보자’라는 문구가 마음에 와닿았습니다. 상대방과 대화를 할 때 내가 불편하다고 생각했던 부분을 선하게 되돌아보는 것이 중요한 일임을 새삼 깨달았습니다. 교수님이 예시로

성의가 잘 드러나도록 돕는 코칭

아마 격물치지라는 말과 수신제가치국평천하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대학」 책에는 ‘격물 치지’ 와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라는 단어 사이에 ‘성의’와 ‘정심’이란 단어가 위치합니다. 이 8가지를 합하여

한계를 돌파하도록 돕는 코칭

어느 날 염구라는 제자가 공자에게 “선생님의 가르침이 싫어서가 아니라 제가 실행하기에 역부족(力不足)인가 봅니다”라고 합니다. 이 말을 듣자 공자가 한 마디 합니다. “힘이 부족한 사람은 해보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