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 드러커는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했다. 그럼에도 사람들이 자신을 미래학자라고 부르는 것을 좋아하지는 않았다. 그는 오직 관찰할 뿐이라고 하며 사회생태학자로 불리길 좋아했다.

미래는 아직 오지 않은 것이 아니라 아직 오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그는 미래를 예측하기보다 ‘발생한 미래’에 주목하라고 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인구변화다.

사회경제학계에서 발생한 미래에 관한 두 가지 표현이 있다. 하나는 검은 백조이고 다른 하나는 회색 코뿔소다. 세상에 그런 것은 없다고 생각하는 것을 검은 백조라 한다. 실제 검은 백조가 지구상에 살고 있었지만 그 누구도 그 실체를 몰랐다. 이른바 느닷없이 나타나는 징조가 검은 백조다. 90년대 말의 IMF가 그랬고, 최근의 코로나 19가 그렇다. 사람 만나는 일이 이처럼 부담스럽고 금기시되리라고는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었다.

반면 회색 코뿔소가 몸집도 크기에 위험한 동물이란 것을 알긴 안다. 코뿔소가 그렇게 빠를 줄 몰랐다는 것이 당한 사람들 이야기다. 알면서 당한 것을 일컬어 회색 코뿔소라고 한다. 인구감소가 이미 2-~30년전부터 시작되었으므로 고령화사회로 전환될지 충분히 알 수 있는데, 이렇게 빨리 닥칠지 모른다고 한다. 결혼도 안하고 출생도 하지 않으니 인구절벽은 점점 더 심각하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한다. 한국은 2017년 이미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로 들어섰고, 2025년 초고령사회에 이를 전망이다.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하고 있을까?

코칭고객 : 팀원 중 한 명이 일을 엉뚱한 방향으로 해가지고 오는데 몇 번 주의를 주어도 안 고쳐지네요.

코치 : 팀원을 바라보면 실망스럽고 반복되니 답답하시겠습니다.

코칭고객 : 맞습니다. 가르쳐줘도 안되고 화를 내봐도 안되고 짜를 수도 없고 참 답답하네요.

코치 : 그렇다면 다음에 새로운 일을 시켜도 결과가 충분히 예상되겠네요.

코칭고객 : 맞습니다. 어떻게 해도 안되거든요.

코치 : 그렇군요. 하나 여쭤보고 싶은 것이 있는데… 안 좋은 결과가 예상하면서도 여태 좋은 방법을 찾지 못하셨다는 말씀이네요. 그렇다면 그 팀원이 문제인가요? 아니면 팀장님이 문제인가요? HR에서는 어떻게 생각할까요?

코칭고객 : 생각해보니 그렇긴 하네요. 제 책임도 있네요. 그 친구 탓만 했다는 게 느껴집니다.

코치 : 뭔가 전환이 필요할 타이밍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어떻게 보면 더 큰 조직을 맡기 전 리더십을 점검할 좋은 기회라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코칭고객 : 아! 그렇겠네요. ㅎ

코치 : 그렇다면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무얼 새롭게 해보시겠습니까?

코칭고객 : 아! 예전 대리 때 비슷한 일이 있었던 것이 생각나네요. 그 방법을 사용해보면 될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인식전환의 단서

“안다,의 반대말이 무엇인가요?” 이렇게 질문하면 대부분 뜸을 들인 후 “모른다, 입니다”고 대답합니다. “모른다는 것은 아는 건가요? 모르는 건가요?” 재차 질문하면 모른다는 걸 아는 거네요” 합니다.

수업소감 41

누군가와 신뢰를 얻기 위해선 어떤 말하기 방법이 필요한지에 대해 알게 되었다. 서로 접촉하는 두 개의 물체가 마찰을 만들어내는 것이 자연법칙이듯이 사람과 사람사이에서 마찰은 당연하다라는 부분이

좋은 감정에 머물도록 돕는 감정코칭

「대학」 책에 큰 공부하는 목적으로 세가지를 제시하는 데 마지막 것이 지어지선(止於至善)입니다. 무언가 배웠다면 아주 좋은 상태에 머물러야 한다는 뜻입니다. “알고 보니 나 괜찮은 사람이네, 알고

말하지 않은 것조차 들을 줄 아는 코칭

코칭을 하면서 고객이 스스로 인식전환을 하는 말을 하면 정말 기분이 좋습니다. 책을 보면 시이불견하고 청이불문하다 (視而不見 聽而不聞)는 말이 있습니다. 코칭고객이 큰사람(大人)답게 상대에게서 보이지 않는 것을

수업소감 9

자신 있게 말하기를 수강하면서, 그리고 이 글말 교실 특강을 들으면서 들었던 생각이 있다. 나는 내가 게으르다는 성격과 함께, 꾸준함 없이 작심삼일을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내가 답이다, 내 안에 답있다

많은 학문이 추구하는 바는 밖에서 구해 안을 채우려 하는데 있습니다. 그 이유는 사람을 결핍한 존재 혹은 결핍한 세상에 살아가는 존재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쟁을 가르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