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 트롯 2>와 감동스토리

저는 대학 교양수업에서 자기 스토리, 그 중에서도 자기를 사랑할만한 스토리를 말하도록 기회를주고 있고, 대학원 철학수업에서도 이론 자체보다 학습주체자인 자기이야기를 더 많이 하도록 합니다.

TV조선의 미스트롯2는 노래도 좋지만 출연자의 인생 스토리에도 큰 감동을 받습니다. 오늘은 힘 있는 스토리를 지닌 양지은님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저 가수분이 왜 저 노래를 부르는지 그 배경을 알고 들을 때 그 감동은 제게 갑절로 다가옵니다.

평소 심사멘트가 아주 인간적인 장윤정은 “사연 없이 양지은 씨를 만났어도 모두가 울었을 것 같다. 지금처럼 하고 싶은 이야기를 노래로 풀어낼 수 있는 무대를 많이 보여주면 좋겠다”고 삼사평을 했습니다.

두 아이의 엄마로 결혼 4년차 제주댁인 양지은은 “중학교 1학년 때 판소리에 입문했고 21살에 아버지께서 당뇨합병증으로 시한부 선고를 받으셔서 아버지께 한쪽 신장을 기증했다”고 합니다.

“그 후 아버지는 건강을 회복해 다행이었는데 나는 수술하고 배에 힘이 들어 가지 않았고 슬럼프가 와서 음악을 포기하게 됐다. 그 일로 인해 아버지께서는 내게 많이 미안해 하셨다.

그 후에 아버지는 간암으로 간 과 발가락도 절제하셨다. 방송에서 노래하는 거 한번이라도 보고 싶다고 하셔서 나오게 됐다”고 말해 모두에게 안타까움과 효심에 눈시울을 뜨겁게 했습니다.

양지은은 ‘아버지와 딸’이란 노래를 진심 어린 목소리로 깊은 감동을 자아냈습니다.

임영웅도 “저도 마스터오디션 때 엄마를 향한 무대로 올하트를 받았다. 많이 응원해드리고 싶다”며 따듯한 말을 전했습니다.

성찰질문

1) 자기 삶의 스토리 중 어떤 순간을 떠올리면 기분이 좋은가요?

2) 누군가를 위해 도움을 주었던 그 때 어떤 마음으로 그랬었나요?

3) 가슴을 따듯하게 해주는 잊지못할 사람은 누구인가요?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말하지 않은 것까지 들을 줄 안다면

코칭을 하면서 고객이 스스로 인식전환을 하는 말을 하면 정말 기분이 좋습니다. 책을 보면 시이불견하고 청이불문하다 (視而不見 聽而不聞)는 말이 있습니다. 코칭고객이 큰사람(大人)답게 상대에게서 보이지 않는 것을

코칭의 효과

공부의 효과나 코칭의 효과는 같다. 공부하면 무엇이 달라질까? 유학의 고전인 은 공부의 효과를 파악하는 3가지를 소개했다. 바로 “밝아졌나?” “새로워졌나?” “좋은 상태에 머무 나?”다. 코칭을 마치고

존재를 마냥 인정해주는 코칭

개과천선(改過遷善)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아시다시피 ‘잘못을 고쳐서 선해진다’는 뜻입니다. 제가 고전을 공부하다가 깜짝 놀랐던 것 가운데 하나가 이 부분입니다. 바로 개과천선이 아니라 천선개과(遷善改過)라고 나와

살리는 말, 살아나게 하는 말

[한국강사신문 오정근 칼럼니스트]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집안에 돈이 쪼달리자 아내가 밀린 외상값을 받아오라고 남편을 채근한다. 구두를 만들며 생계를 꾸려가는 제화공인 남편은 몇 집을 돌아다니며 아쉬운 표정을

영화 <어바웃 타임>과 까르페 디엠

​ 호소력 짙고 매력적인 목소리의 주인공, 마룬 5의 란 노래를 듣다가 이런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우리는 살면서 좋은 순간을 만납니다. 그런데 만약 그런 순간이나 사람을 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