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지 않은 것조차 들을 줄 아는 코칭

코칭을 하면서 고객이 스스로 인식전환을 하는 말을 하면 정말 기분이 좋습니다. <대학>책을 보면 시이불견하고 청이불문하다 (視而不見 聽而不聞)는 말이 있습니다. 코칭고객이 큰사람(大人)답게 상대에게서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줄 알고, 말하지 않는 것까지 들을 줄 알도록 하는 것이 저의 코칭목표이기도 합니다.

소통량이 많지 않은 리더인 경우 말 수가 적은 대신 자칫 오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핵심만 간결하게 전하겠다는 생각에서 내용만 전달하고 사람을 놓치는 일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소통량이 적은 것은 단점이 아닙니다만, 이것을 장점으로 확장시키는 일은 중요하겠습니다.

<사례> 표현이 적은 리더 사례

코치 : 제가 쭈욱 말씀 나누면서 느꼈던 점이 하나 있는데 말씀드려도 될까요?

코칭고객 : 예. 말씀해 주시죠.

코치 : 제가 드린 질문에 대해 비교적 짧게 대답을 하시는 걸 보아, 혹시 상사와 대화 나누실 때에도 팀장님에게 좋은 의견이 있어도 표현을 절제하는 편이 아닐까 싶고, 그래서 혹시 손해 보시지는 않을까 싶은데… 어떠세요?

코칭고객 : 예. 사실 그런 편입니다. 저랑 의견이 비슷하면 굳이 말할 필요를 못 느껴서요. 의견이 크게 다르지 않으면 존중하고 그냥 따라가는 편이고요.

코치 : 그런 것 때문에 구성원이 불평하는 적이 있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어떤가요?

코칭고객 : 아~! 생각이 납니다. 일 좀 받아오지 마라, 팀 업무 경계를 확실하게 해달라는 말을 듣곤 합니다.

코치 : 그런 말 들으면 어떤 생각이 드나요?

코칭고객 : 구성원들이야 일을 적게 하고 싶은 것 아닌가요? 그냥 그 말을 들어주지만 그렇다고 일을 피할 수는 없으니까요.

코치 : 이런 일이 반복되면 어떻게 될까요?

코칭고객 : 글쎄요. 좀 불만이 커지겠네요.

코치 : 구성원이 불평을 말하는 걸 들으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코칭고객 : 방어적이고 소극적이다, 이런 생각이 들어요.

코치 : 만일 구성원 입장에서 그런 말을 한 좋은 이유가 있다면 무엇일까요?

코칭고객 : 현재 하던 일에 집중하고 싶다, 팀 성과목표달성에 주력하고 싶다, 이런 뜻이 있을 수있겠네요. 아~생각해보니 그렇네요. 일을 피하려는 게 아닐 수 있네요. 더 잘하려는 마음이 들어있는데 그걸 못 알아차렸다는 생각이 듭니다.

코치 : 그렇게 긍정의도를 금방 찾으시는 걸 보니 사람 마음을 잘 헤아리시는 분이시네요.

코칭고객 : 아, 그런가요?

코치 : 구성원이 저항하는 것이 아니란 걸 인식하니까 어떠신가요?

코칭고객 : 재가 한쪽면만 보고 있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코치 : 한 가지 염려되는 것이 있는데…팀장님이 말 수가 적으신 편이잖아요.

코칭고객 : 그렇죠. 제가 필요한 말만 하시는 편이죠.

코치 : 그런데 모처럼 하시는 말씀이 긍정 시각이 아니라면 구성원은 팀장님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싶은데요?

코칭고객 : (고객를 끄덕이며) 아무래도 불편했겠네요.

코치 : 팀장님 의도가 오해없이 구성원에게 전달되도록 하려면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코칭고객 : 우선 제가 그들의 긍정의도를 먼저 헤아리고 나서 자신의 의견을 나중에 말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이것이 제게 중요하게 느껴지네요.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언제 온 마음을 담아 행동했나요?

​ 학생들 이름을 외워 불러줄 때가 생각납니다. 강의실에 일찍 온 학생들에게는 이름을 부르며 질문을 던지곤 했습니다. 3개 클라스 90명 이름을 1주만에 외워 불러 줄 때도

존재와 본성에 초점을 두는 코칭

「대학」 책에 보면 본本과 말末에 대한 말이 나오는데 본(本)은 존재(being)에 해당합니다. 코칭은 존재와 사고방식에 집중합니다. 이것은 철학이 존재론과 인식론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것과 유사합니다. 코칭에는 [삼중고리헉습

터놓고 말하고 싶은 주제는 무엇인가요?

코칭의 구분 코칭은 크게 비즈니스 코칭과 라이프 코칭으로 구분합니다. 쉽게 말하면 비즈니스 코칭을 의뢰하고 비용을 지급하는 대상이 회사이고 라이프코칭은 개인이라고 하겠습니다. 따라서 다루는 주제가 다릅니다.

집기양단과 코칭 주제 전환 (1)

3) 집기양단 (순임금의 지혜 중 세번째) 순임금은 집기양단(執其兩端)하는 사람입니다.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양쪽을 다 취한다는 말입니다. 양단(兩端)이라 함은 한쪽 끝을 잡으면 반대편 쪽 끝을

코칭효과에 대한 사례

첫 번째 코칭의 효과는 인식의 변화다. 다음은 학교와 전공을 세 차례 옮긴 대학생과의 대화다. ​ 사례 1 인식의 변화 참가자 저는 부족한 게 많고 도피하는

수업소감 9

자신 있게 말하기를 수강하면서, 그리고 이 글말 교실 특강을 들으면서 들었던 생각이 있다. 나는 내가 게으르다는 성격과 함께, 꾸준함 없이 작심삼일을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