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지 않은 것까지 들을 줄 안다면

코칭을 하면서 고객이 스스로 인식전환을 하는 말을 하면 정말 기분이 좋습니다. <대학>책을 보면 시이불견하고 청이불문하다 (視而不見 聽而不聞)는 말이 있습니다. 코칭고객이 큰사람(大人)답게 상대에게서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줄 알고, 말하지 않는 것까지 들을 줄 알도록 하는 것이 저의 코칭목표이기도 합니다.

<사례> 표현이 적은 리더 사례

코치 : 제가 쭈욱 말씀 나누면서 느꼈던 점이 하나 있는데 말씀드려도 될까요?

코칭고객 : 예. 말씀해 주시죠.

코치 : 제가 드린 질문에 대해 비교적 짧게 대답을 하시는 걸 보아, 혹시 상사와 대화 나누실 때에도 팀장님에게 좋은 의견이 있어도 표현을 절제하는 편이 아닐까 싶고, 그래서 혹시 손해 보시지는 않을까 싶은데… 어떠세요?

코칭고객 : 예. 사실 그런 편입니다. 의견이 거의 같으면 끄덕이고 마는 편이에요. 의견차이가 크게 다르지 않으면 상대의견을 존중하고 그냥 따라가는 편이에요.

코치 : 그런 것 때문에 구성원이 불평하는 적이 있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어떤가요?

코칭고객 : 아~! 생각이 납니다. 일 좀 받아오지 마라, 팀 업무 경계를 확실하게 해달라는 말을 듣곤합니다.

코치 : 그런 말 들으면 어떤 생각이 드나요?

코칭고객 : 구성원들이야 일을 적게 하고 싶은 것 아닌가요? 그냥 그 말을 들어주지만 그렇다고 일을 피할 수는 없으니까요.

코치 : 이런 일이 반복되면 어떻게 될까요?

코칭고객 : 글쎄요. 좀 불만이 커지겠네요.

코치 : 구성원이 불평을 말하는 걸 들으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코칭고객 : 방어적이고 소극적이다, 이런 생각이 들어요.

코치 : 만일 구성원이 그렇게 말할 만한 좋은 이유가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코칭고객 : 현재 하던 일에 집중하고 싶다, 팀 성과목표달성에 주력하고 싶다, 이런 뜻이 있을 수있네요. 생각해보니 그렇네요. 회피하려는 게 아닐 수 있네요. 더 잘하려는 마음이 들어있는데 그걸 못 알아차렸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33

(자신있게 말하기 과목은 수강하지 않고 특강만 수강) 비교과 강좌 신청을 통해 글말교실 6회차 강의를 수강하게 되는 계기가 만들어졌다. 항상 바쁘게 살고 남한테 관심없는 나에게 정신을

수업소감26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는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말하기는 단지 말하는 것만 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청자의 마음이 열리는 것을 확인하고 그들의 마음을 얻는 것까지가 성공적인

코치의 8가지 생각 챙기기

코칭도 생각과 앎을 다루는 비중이 크므로 공자의 9가지 생각(思)에 대한 내용을 활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를 코칭에 접목하기에 용이하게 아래 그림과 같이 8가지로 재정리하여 도해화하였습니다. [생각

수업소감 11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있게 말하기’를 수강하여 글말교실 글말특강 중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를 듣게 되었습니다. 저는 다른 사람들을 만날 때 먼저 표현하고 약속을 잡는 편입니다.

수업소감 36

가장 처음 예시를 들어주셨던 유럽으로 여행 간 학생의 이야기가 인상 깊었다. 나라면 부모님이 더 이상 갚지 않아도 괜찮다고 하셨다면 감사합니다라고 하고 약속을 저버렸을 것 같았기

사람을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 우리가 사는 환경을 자연 혹은 사회라고도 한다. 자연 세계는 자연의 질서나 원칙에 의해 움직인다. 자연 세계에 대하여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돌고 있다.”거나, 혹은 “지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