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면 뭐하니> 에 등장한 파워 퀘스쳔

<놀면 뭐하니>에 고등래퍼 이영지가 초대손님으로 출연하여 올해 스무 살이 되었다고 하며

“앞으로 어떻게 살아갸할지 지혜를 구하고 싶다”고 했습니다.

같은 초대손님으로 출연한 장항준 감독이 연극영화과 학생들로부터 진로에 대한 질문을 받으면 이렇게 대답한다고 합니다.

“20대 때도 자기 맘대로 못살면 평생 자기 맘대로 살 수 있는 시간이 없다.”

다른 출연자도 “10대 때는 엄마 맘대로 산다”고 맞장구쳤습니다.

한편 유재석의 부캐인 카놀라 유는 “혼자 살아보라,는 얘기 해주고 싶다. 나도 부모님이랑 쭈욱 살다가 결혼하니까 혼자 살아본 경험이 없어서 아쉽다.” 고 합니다.

두 사람이 전해준 말에 저도 공감이 갑니다. 부모입장에서 자식을 따로 내보내 살게 한다는 것이 안쓰럽긴 하지만 독립적 생활은 결혼 전 필수라 생각이 듭니다. 혼자서 살지만 혼자 산다는 것의 의미도 더 잘 알게 되고, 신체적 독립이 정신적 독립과 경제적 독립에도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한편 또다른 초대 손님으로 김숙이 초대되었습니다. 방송인터뷰에서 “예전보다 개그우먼 활약이 커진 걸 보면 시대가 달라진 것 같은데 그 이유가 뭐라 생각하는기?” 라는 질문을 받고 김숙은 “시대가 바뀐 게 아니라 우리가 시대를 바꾼 것이다”고 대답했다는 말을 듣고 과연 갓숙다운 명언이라 생각이 들었습니다

성찰질문

1) 20대 청춘들이 진로에 고민이 많습니다. 만일 조언을 하신다면 어떤 말씀으로 에너지를 불어넣어줄 수 있을까요?

2) 만일 혼자산다면 어떤 득과 실이 예상됩니까? 혼자 살게 되는 경우 어떤 준비가 아직 덜 되어 있다고 봅니까?

3) 당신의 전성기는 언제입니끼?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가장 빈번히 느끼는 감정은?

단연코 감사입니다. 야구는 인생과 같다고 하는 말이 재미 있습니다. 왜냐하면 둘 다 ‘집에서 출발해서 집으로 돌아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제가 저 혼자만의 힘으로 집으로 돌아오거나 밥을

<다 좋은 세상>은 어떤 세상일까?

– 다 좋은 세상은 평천하를 이루는 세상이다. 내 감정이 평안해지면 그것이 곧 평천하다. 내가 변하면 세상은 이미 변한 것이다. – 다 좋은 세상은 너와 내가 소중한 세상이다. 하나라도 없으면 우주에

2021년 기대하는 일은 무엇인가요?

2021년 기대하고 있는 일은 새로운 영역으로 저를 확장하는 것입니다. 피터 드러커는 미래를 내다보는 혜안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는 전쟁의 주체이었던 국가로서는 사회작동이 어렵다고 보고 새로운 축으로

가정(If)질문을 활용한 인식전환

​ 리더십코칭이나 라이프 코칭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주제는 대인관계에 관한 것입니다. 마음이 안 통하거나 소통이 잘 안되다는 것인데, 사실과 사실 아닌 것을 구별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수업소감 43

교수님이 말씀해주신 마음을 여는 말하기들의 예시들의 주체가 저 같은 평범한 사람들이여서 그런지 저도 쉽게 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그리고 수업 중 ‘설득은 논리보다 감정이

코칭에서 존재와 존재감

제가 존경하는 코치선배님의 특강을 들으며 코치다움이 무엇인지 깨닫게 된 바를 적어봅니다. 그 분은 “코치로서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자기 물음에 「청소부 밥」에 나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