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말보다 속말에 집중하는 코칭

「대학」 책 서두에 물유본말 (物有本末)이란 말이 나옵니다. 만물에는 본(本이 있고 말(末)이 있다는 뜻입니다. 본은 사람이고 말과 행동은 말에 해당합니다. 말은 끝이어서 흔히 조직에서 말단사원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본심이나 본성, 본질을 먼저 알아보아야 하는데 우리는 겉으로 들리는 말이나 겉으로 보이는 행동을 문제 삼기도 합니다. 소통의 원리를 한마디로 한다면 “보고 알지 말고 알아보자”입니다.

「대학」 책에 시이불견 청이불문 (視而不見 聽而不聞)이란 말이 나오는데, 코치인 제가 좋아하는 문구입니다. “봐도 못 보고 들어도 못 듣는다”는 뜻입니다. 돌려 말한다면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줄알아야하고 말하지 않은 것을 들을 줄 알아야 한다는 말입니다.

<사례> 서로 속마음을 몰라 생긴 소통오류를 극복한 사례

팀장 : 일을 하다 보면 부서간 협업관계로 일을 하는 것도 필수적이잖아요? 저는 팀간 경계를 구분하는 것이 부서이기주의라고 생각하거든요. 한 번은 경계가 모호한 일을 우리 팀원들에게 시켰더니 대번에 “이런 것까지 우리팀에서 해야 하나요?” 이러는 겁니다.

코치 : 그 말을 듣고 어떤 느낌이었나요?

팀장 : 불쾌했어요. 나도 뜻이 있어서 한 말인데 이 친구가 내 말을 가볍게 여기는구나, 싶었지요.

코치 : 듣기에 거북하셨군요. 그래서 어떻게 하셨나요?

팀장 : 예전 같으면 핏대를 냈을 텐데, 요즘은 회사에서 하도 조심하라고 해서 점잖게 타일렀지요.

코치 : 구성원과 관계를 소중히 여기신다는 것이 느껴지네요. 반응이 어땠나요?

팀장 : 마지못해 수긍한 듯했고, 표정이 그리 밝지않아 저도 마음이 불편했어요.

코치 : 구성원이 옳다는 것은 아니지만 만일 일부러 그렇게 말을 했다면 어떤 좋은 이유가 있어서 그랬을까요?

팀장 : 글쎄요? 좋은 이유라…. 혹시 핵심과업에 집중하고 싶다? 그런 것이 생각나네요.

코치 : 팀장님을 위해서 말을 했다고 가정해본다면 어떤 이유가 있을까요?

팀장 : 팀성과에 주력해야 해야 팀장인 저에게도 좋긴하겠네요.

코치 : 그 직원이 그런 의도를 미쳐 말 하지 못했다고 생각해보면 어떤가요?

팀장 : 나름 팀성과를 위해 말한 건데 알아듣지 못했으니 아마 섭섭했겠네요. 괜히 제가 미안해지네요.

코치 : 그럼 혹 이와 비슷한 불편한 상황이 생긴다면 어떻게 대응하시겠습니까?

팀장 : 알겠습니다. 판단하기에 앞서 좋은 이유가 무언지 알아보면 되겠네요.

코치 : 대단하십니다. 학습력이 아주 빠르신 분이란 걸 알겠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단서를 활용한 인식전환 코칭

코칭은 바로 자각과 자기성찰을 돕는 과정입니다. 그 결과 고객이 자기인식의 전환을 맛보게 되면 내심 변화하고자 하는 의욕을 갖게 됩니다. 코칭과정에서 고객이 이런 전환을 느껴야 스스로

<오정근의 커리어코칭> 책에 대하여

출판사 대표님이 정해준 제목이라 저는 좀 어색하고 낯뜨겁기도 합니다. 책 제목에 이름을 걸고 나니, 더 조심스러워집니다. 코치들의 봉사모임인 해피포럼의 김건중고문님의 “너의 이름을 아름답게 하여라”하는 감명깊은

진짜 원하는 것을 찾아내는 코칭

우리가 음식점에 가서 무얼 먹을까 하며 망설이듯이 사실 코칭고객도 자신이 원하는 것을 잘 모를 때가 많습니다. 다루고 싶은 이슈가 있기는 하지만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살면서 잘 한 일을 꼽는다면?

감사일기 쓰기가 가장 꾸준히 잘 해온 일입니다. 9년째 매일 감사일기를 쓰고 있습니다. 이렇게 오래 쓰게 된 배경은 두가지인데, 하나는 저와의 원칙을 갖고 시작했었습니다. 오늘의 감사일기

앎을 다루는 감정코칭

코치 : 그래서 정말 화가 많이 나셨던 것이군요. 코칭고객 : 예. 그렇죠. 제 이야기를 잘 들어서 아시겠지만, 그 사람이 그렇게 행동하는데 제가 화가 안 날

호문호찰의 지혜

고객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정답을 제공하는 컨설팅과 달리 코칭은 코치의 질문에 의해 코칭고객 스스로 최적의 답을 찾아내어 실천하도록 돕는 지혜를 다루는 대화과정입니다. 학문이라는 단어는 원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