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일기를 쓰게된 계기는 무엇인가?

젊고 유능한 한건수코치가 인천공항공사 등 우리나라에 보급한

<불평 없는 세상 만들기(Complaint Free)>라는

세계적 캠페인 성격의 프로그램의 강사과정을 이수하면서,

자연스레 <불평하지 않고 21일 지내기>에 참여했고

효과적으로 습관 만드는 방법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Complaint Free 밴드를 손목에 차고 한 번 불평을 할 때마다 밴드를

좌우손목으로 이동하면서 불평을 자각하기 시작했고,

점차 불평을 줄이는데 성공했습니다.

만일 10일만에 깜빡 잊고 다시 불평을 하면 다시 1일차로 카운트하는

원칙을 지켜나가는 방식을 따르다 보니

4개월만에 연속 21일 Complaint Free에 성공했습니다.

불평 없이 지내기에 성공하면서 불평이 사라진 빈공간에

무엇을 넣을까 생각하다가 감사를 생활화하자는 생각으로

감사일기를 쓰기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감사일기를 쓰면서 마찬가지 방식으로 일련번호를

매기기 시작하여 어느덧 3,340일째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행동이 아닌 본성에 초점을 두는 코칭

행동에 잘못이 있다고 생각하면 그런 행동을 사람 자체가 잘못된 사람으로 인식하기 쉽습니다. 행동을 문제 삼고서도 변화가 없으면 “넌 왜 그 모양이냐? 누굴 닮아서 그러냐? 너

수업소감 15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 글말특강을 듣고 난 후 나는 자신있게 “YES”라고 답할 수 있을 것 같다. 평소 나는 조형대학교를 다니며 매 학기 자주 있는

호문호찰의 지혜

고객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정답을 제공하는 컨설팅과 달리 코칭은 코치의 질문에 의해 코칭고객 스스로 최적의 답을 찾아내어 실천하도록 돕는 지혜를 다루는 대화과정입니다. 학문이라는 단어는 원래

AI와 함께하는 미래의 글쓰기

안녕하세요. 오정근입니다. 요즘은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우리 일상에서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죠. 그 중에서도 글쓰기에도 AI가 도움을 주고 있는데요. 오늘은 저희가 어떻게 AI와 함께 글을 쓸

좋은 감정에 머물도록 돕는 감정코칭

「대학」 책에 큰 공부하는 목적으로 세가지를 제시하는 데 마지막 것이 지어지선(止於至善)입니다. 무언가 배웠다면 아주 좋은 상태에 머물러야 한다는 뜻입니다. “알고 보니 나 괜찮은 사람이네, 알고

앎을 다루는 감정코칭

코치 : 그래서 정말 화가 많이 나셨던 것이군요. 코칭고객 : 예. 그렇죠. 제 이야기를 잘 들어서 아시겠지만, 그 사람이 그렇게 행동하는데 제가 화가 안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