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If)질문을 활용한 인식전환

리더십코칭이나 라이프 코칭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주제는 대인관계에 관한 것입니다. 마음이 안 통하거나 소통이 잘 안되다는 것인데, 사실과 사실 아닌 것을 구별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만 잘 가려내어도, 즉 명석판명 (clear & distinct)하면 갈등에서 벗어나기 쉽습니다.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로 인힉하는 것을 우리는 오해라고 합니다. 확실하지 않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겉으로 보이는 것이 전부인줄 알고 부정적으로 인식하곤 합니다. 그런 연유로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그럴 때 소통이 엇나가기 쉽습니다.

이럴 때 코치가 긍정가정을 전제로 질문해보면 인식전환이 잘 일어납니다.

<사례> 긍정 가정을 전제로 감정전환과 인식전환을 돕는 코칭

코치 : 오늘은 에너지가 다운되어 보이시네요.

코칭고객 : 회사에서 동료 땜에 화가 나서요. 저에게 자꾸 간섭하고 자기 잘난 척하거든요.

코치 : 다정다감한 분이시라 동료의 그런 말과 행동에 상처를 받으셨나 봐요?

코칭고객 : 맞아요.

코치 : 그래서 어떻게 반응하셨나요?

코칭고객 : 저도 모르게 언성이 높아졌고 약간 실랑이를 하다가 대화를 그만두었어요.

코치 : 그러셨군요. 그래서 지금 기분은 어떠세요?

코칭고객 : 씁쓸하고 다시 그 친구 얼굴 보려니까 찝찝하고 뭐라고 해야 할지 막막하네요.

코치 : 그래서 어떻게 되면 좋을까요?

코칭고객 : 제가 제 감정 콘트롤을 잘하면 좋겠어요. 누군가 저를 틀에 가두고 간섭한다고 생각이 들면 저도 모르게 제가 발끈하는 것 같네요.

코치 : 아~ 그러시군요. 감정을 잘 다스리고 소통도 잘하고 싶으신 거네요. 만일 존경하는 어른이 간섭한다면 화가 났을까요?

코칭고객 : 그렇지는 않았겠죠.

코치 : 그러니까 상대에 따라 화가 나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고 그렇게 감정을 선택할 수 있는 분이라는 느낌이 드네요.

코칭고객 : 그런가요?

코치 : 그렇다면 화가 나는 이유가 간섭이라고 받아들였기 때문처럼 들리는데 어떤가요?

코칭고객 : 그런 것 같네요.

코치 : 그렇게 화내는 대상을 구분하고 선택하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코칭고객 : 아~! 제 속마음을 들여다보니 제가 그 친구에게 지기 싫은 경쟁심 같은 것이 있었나봐요.

코치 : 아, 예… 지금 그런 마음이 느껴지나 보네요. 그 동료가 만일 순수한 마음으로 고객님을 돕고자 했다면 동료 마음은 어땠을까요?

코칭고객 : 오히려 저에게 상처를 받았겠네요. 코치님 질문을 들어보니 부끄러워지네요. 제가 속이 좁았던 것 같은 생각도 들고요.

코치 : 입장전환도 잘 하시는 분이시네요. 만일 동료가 순수한 마음이 아니었다 해도, 고객님이 순수한 의도로 받아들이면 기분이 어떨까요?

코칭고객 : 일단 제가 기분 좋겠고, 둘 다 기분 망치는 일은 없겠네요. 다른 팀원들에게도 피해를 주지 않을 테고요.

코치 : 그러시군요. 내일 그 동료를 만나면 뭐라고 말씀하시면 서로 기분이 좋겠습니까?

코칭고객 : 일단 제가 오해했다고 사과하고 저에게 도움을 주려고 챙겨주어 고맙다고 하면서 점심을 쏘겠다고 해야겠어요.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25

일단 기본적으로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을 들으면서 알게 되었던 말하기 방법 혹은 글쓰는 방법에 대해서 한 번 더 확실하게 정리를 해주는 강의였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수업소감 36

가장 처음 예시를 들어주셨던 유럽으로 여행 간 학생의 이야기가 인상 깊었다. 나라면 부모님이 더 이상 갚지 않아도 괜찮다고 하셨다면 감사합니다라고 하고 약속을 저버렸을 것 같았기

수업소감 17

오정근 교수님의 글말 교실 강의를 듣고 자신있게 말하기에서 소개해주신 방법이 상기되어서 좋았습니다. 학기 마무리 부분에서 복습하는 느낌도 들고 다시 머릿속으로 들어오니까 정말 그렇구나라는 느낌과 함께

큰 몸을 사용하도록 돕는 코치

# 팀장 : 코치님! 제가 어떨 때는 리더답게 행동하다가도, 어떨 때는 영 그렇지 못한 데 그 이유가 뭘까요? 코치 : 좋은 질문이네요. 그 질문을 들으니

겉말보다 속말에 집중하는 코칭

「대학」 책 서두에 물유본말 (物有本末)이란 말이 나옵니다. 만물에는 본(本이 있고 말(末)이 있다는 뜻입니다. 본은 사람이고 말과 행동은 말에 해당합니다. 말은 끝이어서 흔히 조직에서 말단사원이라는 표현을

세종의 독서코칭 -오정근코치

​ 세종 초기에 당시 어전회의 분위기는 오늘날 많은 조직과 크게 다르지 않았나 보다. 세종은 신하들이 좀처럼 입을 열지 않아 속마음 알기도 어려웠고, 누군가 의견을 개진하면